.png)
산청 전주최씨 고령댁 상여 (山淸 全州崔氏 高靈宅 喪輿)
Bier Belonging to the Goryeongdaek House of the Jeonju Choe Clan, Sancheong
사이즈(Size) 1500mm, 900mm
전주 최씨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21대손인 최필주(崔必周)의 시신을 장지까지 운반하던 상여이다. 최필주는 상당한 재산가였으며, 그가 세상을 떠나자 맏아들이 경남 통영의 조각공을 초청해 상여를 제작하게 하였다고 전한다. 이 상여는 약 6개월에 걸쳐 완성되었으며, 개인 소유로 보관되던 것을 ‘진주화단친목회’에서 구입해 사용하다가, 1994년 국가에 기증되어 현재국립민속박물관(서울)에 보관 중이다. 상여의 명칭은 최필주의 후손 가운데 고령군수를 지낸 인물이 있었던 데서, 그 관직명을 따서 붙인 것이다.
경남 진주 지역에서 사용된 이 상여는 4층 누각형 기와집 구조로 매우 독특하다. 긴 멜대 위에 네 층의 기와집 형태가 세워져 있으며, 맨 위에는 햇빛을 가리는 넓은 천이 덮여 있다. 1·2층 아래에는 난간이 둘러져 있고, 그 위에는 인물 조각상이 배치되어 있다. 이 인물들은 망자가 외롭지 않도록 저승길을 함께 가는 동행자와, 영혼을 인도하는 동방삭(東方朔)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3·4층은 목조건축양식을 그대로 모방한 지붕 구조로, 마치 두 채의 기와집을 겹쳐 놓은 듯한 형태이다. 지붕의 추녀 끝에는 날개를 접은 새가, 4층 용마루에는 날개를 편 새가 장식되어 있는데, 이는 저승새를 상징한다. 전면을 가득 채운 조각과 채색은 용·동물·식물·인물 등 다양한 문양으로 꾸며졌으며, 색채 또한 매우 화려하다. 특히 3층 지붕 아래에는 연꽃이 시들어가는 과정이 조각되어 있어, 인간의 삶과 죽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상여는 장례 행렬에서 요령잡이의 방울 소리와 노래에 맞추어 움직이도록 설계되었다. 두 개의 긴 멜대에 횡목을 끼워 그 사이에 사람들이 들어가 어깨에 메고 운반한다. 철종 7년(1856년)에 제작된 이 상여는 조각과 구조가 매우 정교하며, 제작 시기가 명확하고 구조가 독특하여 조선 후기 상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This bier was used to transport the body of Choi Pil-ju (崔必周), the 21st descendant of the Jeonju Choi clan, Tongdeoknang branch (通德郞公派), to his burial site. Choi Pil-ju was known to be a wealthy man, and upon his death, his eldest son commissioned a woodcarver from Tongyeong, Gyeongsangnam-do, to create this elaborate bier.
The work reportedly took six months to complete. Originally kept as a private family bier, it was later purchased and used by the Jinju Hwadanchinmokhoe (a local funeral association), before being donated to the nation in 1994. It is now preserved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eoul). The name of the bier derives from the official title “Tongdeoknang”, held by one of Choi Pil-ju's descendants who served as the magistrate of Goryeong County.
The bier, used in Jinju, Gyeongsangnam-do, features a unique four-tiered structure resembling a traditional tiled pavilion. Its long wooden poles support the four-tiered body, with a wide canopy stretched above to block sunlight. Railings encircle the lower two tiers, atop which stand human figurines—likely representing companions and the immortal Dongbangsak (東方朔) who guide the deceased on their journey to the afterlife.
The upper two tiers mimic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appearing like two tiled houses stacked together. At the ends of the eaves are carvings of birds with folded wings, while those on the ridge spread their wings—symbolizing souls ascending to the afterlife. The surface is richly decorated with dragons, animals, plants, and human figures, all painted in vivid colors. Particularly notable is the carving of a withering lotus flower beneath the third-tier roof, evoking the passage from life to death.
During funeral processions, the bier moved to the rhythm of bells and chants led by the bier bearer. Crossbeams were fitted between the two main poles, allowing pallbearers to lift and carry it on their shoulders. Crafted in 1856 (7th year of King Cheoljong), the bier's intricate carvings and refined assembly make it an important artifact for studying late Joseon funerary art and traditions.

산청 전주최씨 고령댁 상여 원본 사진
위의 사진은 작업을 위한 원본 참고 이미지입니다. 이 이미지를 기준으로 전체 모델링 작업이 진행됩니다. 상여의 형태, 비율, 조각 세부 표현 등 모든 요소를 분석하여 반영합니다. 특히 꼭두(인형 장식)나 기초 구조가 되는 부분까지 세밀히 참고해야 합니다. 각 부분의 질감, 색감, 조형적 특징을 충실히 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본의 느낌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형태로 구현합니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비례와 균형을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필요한 경우 세부 자료를 추가로 조사하여 보완합니다. 최종 결과물은 실제 상여 형태와 시각적으로 일치해야 합니다. 이 사진은 전체 제작 방향의 기준이 되는 핵심 참고 자료입니다.
The image above serves as the primary reference photo for production. All modeling work will be based on this visual reference. Every element, including the form, proportions, and carved details of the bier, will be analyzed. Particular attention will be given to the kokdu figures and foundational structures. It is essential to faithfully reproduce the original texture, color, and sculptural qualities. The final model should preserve the authentic impression of the source image. Structural stability and balanced proportions must be maintained throughout the design. Additional research may be conducted to refine specific details if necessary. The completed model should visually align with the real ceremonial bier. This photograph defines the core direction and foundation of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우선 컴퓨터에서 정밀한 도면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도면은 전체 구조와 조립 방식을 정확히 반영합니다. 완성된 도면은 나무판에 프린트 출력물 형태로 인쇄됩니다. 이후 출력된 도면을 기준으로 레이저 가공을 진행합니다.
A precise technical drawing is first created on the computer. This blueprint accurately reflects the overall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The completed design is then printed onto wooden panels as a reference. Based on the printed guide, the wood is processed through laser cutting. This ensures accuracy and consistency throughout the entire fabrication process.

가공이 완료된 나무 조각들은 먼저 분류 및 검수를 거칩니다. 각 부품의 크기, 두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검수 과정에서 오차가 발견되면 즉시 수정 또는 재가공을 진행합니다. 그다음 단계에서는 부품들을 하나씩 직접 수작업으로 조립합니다. 조립 시 각 부위의 결합 각도와 위치를 정밀하게 맞춥니다. 작은 오차도 전체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조립이 진행될 때마다 결합 상태를 반복적으로 점검합니다. 모든 부품이 완벽하게 맞물릴 때까지 미세 조정을 계속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단단하고 안정적인 구조가 완성됩니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작품은 높은 정밀도와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After the laser cutting, each wooden piece is carefully sorted and inspected. The dimensions, thickness, and shapes of all components are checked for precision. Any detected deviation is immediately corrected or reprocessed. Next, the parts are manually assembled one by one by hand. During assembly, every joint and connection angle is precisely aligned. Even the smallest error can affect the overall structure, requiring great care. Each step of the assembly process involves repeated inspection and adjustment. Fine-tuning continues until every component fits together perfectly. Through this method, a strong and stable structure is achieved. The final product reflects a high level of craftsmanship and accuracy.

기타 장식에 들어가는 모든 부분도 먼저 형태를 정밀하게 따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단계에서는 도면이 아닌 실제 장식의 곡선과 비율을 직접 관찰하며 작업합니다. 이 부분은 프린트물로 출력되는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수작업 페인트 조각 및 채색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조각된 표면 위에 붓으로 색을 입히며, 질감과 깊이를 표현합니다. 색의 농도와 붓 터치 하나하나가 전체 인상의 균형을 좌우합니다. 특히 모든 장식은 일렬로 정렬되어 자연스러운 리듬을 만들어야 합니다. 정렬이 흐트러지면 전체 구성이 불안정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각 장식의 위치와 간격을 세밀하게 맞추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작업자는 각 조각을 배치하며 시각적인 통일감을 유지해야 합니다. 색의 조화, 형태의 반복, 간격의 일정함이 모두 어우러져야 합니다. 섬세한 손놀림과 충분한 집중력이 요구되는 단계입니다. 작은 실수 하나도 완성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과정은 천천히, 신중하게 진행됩니다. 이러한 세밀한 작업을 통해 생동감 있고 균형 잡힌 장식이 완성됩니다.
Every part of the additional decorations begins with a precise shape tracing process. At this stage, the artisan observes and reproduces the real curves and proportions by hand. Since these elements are not printed materials, they are created through manual carving and painting. Paint is carefully applied onto the sculpted surface to express depth and texture. Every brushstroke and color tone contributes to the overall visual harmony. All decorative pieces must be aligned in a straight, consistent line. Any deviation in alignment could disrupt the stability of the entire composition. Therefore, the spacing and placement of each piece are adjusted with precision. The artisan must maintain visual balance throughout the arrangement. Harmony in color, repetition in form, and consistency in spacing must blend together. This stage demands extreme delicacy and steady concentration. Even a minor mistake can greatly affect the overall completeness. Hence, every step is carried out slowly and with great care. Through this meticulous process, the decorations gain life, rhythm, and refined balance.

상여의 가장 윗부분을 구성하는 지붕 부분은 전체 형태의 마무리를 담당합니다. 지붕은 단순한 덮개가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과 미적 균형을 동시에 담당합니다. 먼저 레이저 가공과 정밀 톱질을 통해 지붕의 기본 틀을 제작합니다. 곡선부와 모서리 부분이 어긋나지 않도록 세밀한 조정이 필요합니다. 기초 뼈대를 완성한 뒤, 퍼티(파데) 작업을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습니다. 이 과정은 미세한 틈과 요철을 메워 형태의 완성도를 높이는 단계입니다. 그다음, 각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강력 접착제로 부착합니다. 수평과 기울기를 정확히 맞춰야 안정적인 형태가 유지됩니다. 접착 후에는 충분한 건조 시간을 확보해 고정력을 강화합니다. 이후 구멍, 틈, 이음부 같은 세부 부분을 정밀하게 보완합니다. 바닥과 접하는 부분은 평면 처리를 통해 전체 윤곽을 정리합니다. 지붕의 외곽선은 전체 상여의 비례와 조화를 고려해 조정됩니다. 이 단계에서 곡률과 높이를 세밀히 조정하여 완성도를 높입니다. 마감 단계에서는 표면을 정제하여 부드러운 곡선미를 구현합니다. 결과적으로 지붕은 상여의 형태를 완성시키는 핵심적인 요소가 됩니다.
The roof section forms the uppermost part of the bier’s structure. It serves not only as a cover but also as a key to balance strength and aesthetics. The process begins with laser cutting and precise saw work to build its framework. Fine adjustments are made to ensure curves and edges fit perfectly. Once the base frame is complete, a layer of putty is applied for surface refinement. This step fills small gaps and smooths irregularities for a clean finish. Each component is then attached with strong adhesive at its exact position. Proper alignment of level and slope is crucial to maintain stability. After assembly, adequate drying time is allowed for secure bonding. Next, details such as holes, seams, and joints are carefully refined. The bottom edge is leveled to define the roof's overall contour. The outer line of the roof is adjusted for proportion and visual harmony. Curvature and height are fine-tuned to achieve structural balance. In the finishing stage, the surface is polished to enhance smooth curves. Ultimately, the roof becomes a defining element that completes the bier's form.

상여의 지붕 부분은 구조적으로 입체감이 강한 형태로 제작됩니다. 이 때문에 평면 인쇄 방식의 프린트 작업은 적용이 어렵습니다. 대신, 실제 색상을 직접 구현하기 위해 컬러 페인트 도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표면의 질감과 형태를 고려한 세밀한 색 표현이 이루어집니다. 안쪽과 바깥쪽의 색상을 세 가지 톤으로 구분하여 입체감을 더욱 강조합니다. 색의 명암 차이를 통해 깊이감과 생동감을 동시에 표현합니다. 특히 빛의 방향과 반사각을 고려해 자연스러운 음영을 살려냅니다. 이 작업은 단순한 색칠이 아니라 조형적인 감각을 요구하는 섬세한 과정입니다. 컬러는 실제 상여의 원본 형태와 유사한 색감을 기준으로 조정됩니다.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도 현실적인 질감과 분위기를 재현합니다. 도장이 완료된 후에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마감 코팅을 추가합니다. 이로써 색상의 선명도와 내구성이 오래 유지되도록 합니다. 마감된 지붕은 전체 상여의 상단 구조에 정확히 부착됩니다. 이때 위치와 각도를 세밀히 조정하여 균형을 맞춥니다. 완성된 지붕은 상여 전체의 형태를 돋보이게 하는 핵심 포인트가 됩니다.
The roof section of the bier is designed with a distinctly three-dimensional structure. Because of this, flat printing techniques cannot be applied to its surface. Instead, a detailed color paint coating process is used to achieve realistic tones. This stage focuses on texture and shape to produce precise color expression. Three different tones are applied acros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for depth.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dark colors enhances the sense of dimension. Lighting and reflection angles are carefully considered to create natural shading. This is not simple coloring but a sculptural process requiring artistic precision. The color palette is matched to resemble the appearance of real ceremonial biers. As a result, the final look conveys both realism and a dynamic presence. Once painting is complete, a protective coating is applied for durability. This coating preserves the brightness and texture of the painted surface. The finished roof is then carefully attached to the top structure of the bier. Its placement and angle are precisely adjusted for perfect alignment. Ultimately, the roof becomes a striking visual centerpiece of the entire work.

상여의 하단 부분은 전체 구조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기초입니다. 이 부분은 단순한 받침대가 아니라, 전체 상여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먼저 나무 각목(사각목재) 을 사용하여 기본 틀을 구성합니다. 각 목재는 정밀하게 재단되어 정확한 길이와 각도로 맞추어집니다. 이후 조각 작업을 통해 하단의 형태를 세밀하게 다듬고, 각 모서리에는 부드러운 곡선을 주어 전체적인 조형미를 높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상여가 올라갈 밑단의 토대 구조가 완성됩니다. 밑단은 상부 구조와 정확히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조립 단계에서는 수평과 균형을 엄격히 유지하며 고정합니다. 그다음 중요한 포인트는 사람이 실제로 상여를 들 때의 어깨 부분 처리입니다. 상여를 메는 사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천 재질 선택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여러 소재를 테스트한 결과, 질감과 내구성이 뛰어난 강목천을 채택했습니다. 이 천은 실제 상여에서 사용되는 천의 느낌과 가장 유사한 재질입니다. 표면은 거칠지 않고, 촉감이 자연스러우며 쉽게 찢어지지 않습니다. 또한 무게를 분산시켜 들었을 때의 압력을 완화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이 천은 하단 목재 프레임 위에 견고하게 고정됩니다. 고정 과정에서는 주름과 처짐이 생기지 않도록 섬세하게 장착합니다. 마감 시에는 시각적으로도 상여 전체와 조화를 이루도록 색감을 맞춥니다. 이로써 실제 의례에서 사용되는 상여의 전통적 감성과 사실적 디테일을 모두 살렸습니다. 완성된 하단 구조는 안정감과 리얼리티를 동시에 갖춘 형태로 완성됩니다.
The lower section of the bier serves as the essential foundation of the entire structure. It is not merely a base but a core element that evenly distributes the overall weight. The framework begins with carefully cut square wooden beams. Each piece is measured and aligned with precise angles for structural accuracy. The wood is then sculpted and refined to create smooth, balanced contours. Curves are added along the edges to enhance the aesthetic form of the base. Through this process, the platform supporting the bier is constructed. It is designed to fit perfectly with the upper framework during assembly. Alignment and level are meticulously checked throughout the process. An especially important detail is the cloth section that rests on the shoulders. This part determines the comfort and functionality when the bier is lifted by people. After several material tests, a fabric called Gangmok-cheon was chosen. This textile closely resembles the traditional fabric used in real ceremonial biers. It has a natural surface texture—neither too rough nor too soft. Its durability prevents tearing and helps distribute weight evenly. The fabric is tightly attached to the wooden base without wrinkles or sagging. Special care is taken to ensure a smooth and consistent fit across the frame. The final coating and color are adjusted to harmonize with the entire bier. This approach preserves both traditional craftsmanship and realistic detail. The finished lower section achieves a perfect balance of stability and authenticity.


모든 구조물을 완성한 뒤, 상여의 각 부분을 정밀하게 조립합니다. 기둥, 지붕, 하단 구조가 서로 정확히 결합되도록 맞춤 작업을 진행합니다. 조립이 완료되면 기타 장식 요소들도 함께 부착하여 전체적인 형태를 완성합니다. 이때 각 장식의 위치와 방향은 전체 균형을 고려하여 세밀하게 조정합니다. 조금의 오차라도 전체 비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든 부착이 끝난 뒤에는 강력 접착으로 최종 고정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후 추가적인 디테일을 위해 놀리기(흔들림 연출) 부분을 일부 추가합니다. 이 장치는 상여가 실제로 움직이는 듯한 역동적인 느낌을 주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완성품이 단순한 전시물이 아닌, 생동감 있는 작품으로 표현됩니다. 전체적인 형태와 비율은 실제 상여와 최대한 비슷하게 재현했습니다. 특히 고성 지역의 전통 상여 양식을 참고하여 형태를 설계했습니다. 전통적인 색감과 구조적 특징을 유지하며 현대적인 재료로 재해석했습니다. 다만 완벽한 복제는 아니기에, 약간의 아쉬움이 남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러나 제작의 목적은 단순한 모형이 아니라 교육적 체험 도구에 있습니다. 이 상여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어린이들이 전통문화를 직접 느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단순히 형태를 보는 것을 넘어, 전통의 의미와 제작의 정성을 이해하길 바랍니다. 조립과 색채, 질감의 변화를 통해 전통 예술의 깊이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어린이들에게 창의력과 관찰력을 동시에 길러주는 기회가 됩니다. 완성된 상여가 전통의 아름다움과 장인의 정성을 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무엇보다 이번 프로젝트가 모두에게 유익하고 뜻깊은 경험이 되었으면 합니다.
After completing all components, every part of the bier is carefully assembled. The pillars, roof, and lower base are fitted together with precise alignment. Once assembled, additional decorative elements are attached to complete the form. Each ornament’s position and angle are adjusted for overall visual balance. Even minor misalignments could disrupt proportion, so precision is vital. After all attachments are in place, strong adhesive is used for final fixation. To enhance realism, a slight motion mechanism is added to create movement. This gives the final model a more dynamic and lifelike appearance. As a result, the piece feels like a living structure rather than a static display. The overall form and scale are modeled closely after traditional bier designs. Specifically, it follows the style of Goseong’s regional ceremonial bier. Traditional color tones and structural patterns are preserved with modern materials. Though not a perfect replica, it maintains the spirit and essence of the original. The true purpose of this work is as an educational and cultural teaching tool. Through hands-on engagement, children can experience Korea’s funeral traditions. They can learn not only the shape but also the meaning and craftsmanship behind it. The process teaches them how color, texture, and assembly reflect cultural artistry. This becomes a creative opportunity to develop both observation and sensitivity. The completed bier conveys the beauty of tradition and the care of its maker. Above all, it is hoped that this project becomes a meaningful and inspiring experience for everyone involved.
© 이미지웍스의 모든 이미지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외부 사용 시 사전 허가가 필요하며,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ImageWorks'를 출처로 표기해 주세요.
© All images by Image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External use requires prior permission; when sharing, please credit “ImageWorks” as the sour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