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IMAGEWORKS

THE IMAGEWORKS는 2004년 설립 이래, 다양한 공공기관과 기업에 창의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해 온 전문 종합 디자인 그룹입니다. 기획–디자인–제작–홍보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박물관, 도서관, 기업체, 교육기관, 병원, 그리고 개인 고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들과 신뢰를 기반으로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Petroglyphs project overview

반구대 암각화 Petroglyphs of Bangudae

시각 대신 촉각으로 배우는 역사자료 키트


이 바위그림은 높이 약 4.5 m, 너비 약 8 m의 ‘ㄱ’자 모양으로 꺾인 절벽암반에 새겨져 있습니다. 전체 암반면에는 육지동물과 바다생물, 그리고 사냥 장면 등을 포함해 총 200여 점 이상의 그림이 새겨져 있어 그 규모와 다양성에서 매우 주목됩니다. 예컨대 육지동물로는 호랑이(함정에 빠진 장면이나 새끼를 밴 모습), 멧돼지(교미하는 모습), 사슴(새끼를 거느리거나 임신한 상태) 등이 표현되어 있으며, 바다생물로는 고래(작살맞은 모습, 새끼를 데리고 다니거나 임신한 모습), 물고기, 바다새 등이 등장합니다. 사냥 장면에서는 탈을 쓴 무당, 사냥꾼, 배를 타고 고래를 잡는 어부 등이 묘사되어 있고, 그물이나 배의 구조물 등 사냥도구까지 표현되어 있어 단순한 동물그림을 넘어 그 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업을 보여줍니다.

그 제작시기는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조각기로 윤곽선을 쪼아내거나 전체 형체를 떼어내는 기법, 쪼아낸 윤곽선을 갈아내는 방식 등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신석기 말기에서 청동기 시대 사이로 추정됩니다. 실제로 고래사냥과 관련된 고고학적 유물들 — 멧조각, 작살 자국이 있는 고래뼈 등 — 이 이 지역에서 출토되어 이 암각화가 해양·육상 사냥 문화의 한 단면을 담고 있다는 증거로 작용합니다. 또한 이 바위그림은 선과 점을 이용해 동물과 사냥 장면을 생명력 있게 표현했고, 사물의 특징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사냥 미술”이자 “종교 미술”로서 평가됩니다. 즉, 단순히 사냥활동을 묘사한 것을 넘어, 당시 사람들의 삶의 방식, 자연관, 의례적 사냥에 대한 믿음, 풍요와 다산에 대한 기원 등이 동시에 담겨 있는 복합적 예술품입니다.

더 나아가 이 암각화는 전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고래 사냥 장면을 묘사한 암각화로 인정받고 있는데, 특히 대형 고래와 사냥선, 작살 및 부유물의 표현 등이 매우 상세하여 고고학·인류학적으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이로 인해 이 유적은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해양 사냥을 중심으로 한 선사시대 생계 문화의 중요한 증거로 기능합니다. 최근에는 이 유적이 UNESCO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보호·관리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댐 수위 상승으로 암각화 면이 침수되는 등 보존상 도전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This rock engraving is carved on an L-shaped cliff face measuring approximately 4.5 meters in height and 8 meters in width. Across the surface of the rock are over 200 engraved images depicting both land and sea animals as well as hunting scenes, making it one of the most diverse and extensive examples of its kind. Land animals such as tigers (shown trapped or pregnant), wild boars (in mating scenes), and deer (with fawns or in gestation) are represented. Marine life includes whales (struck by harpoons, carrying their young, or shown pregnant), fish, and seabirds. The hunting scenes portray masked shamans, hunters, and fishermen harpooning whales from boats, along with nets and other fishing tools, revealing not just artistic skill but also aspects of prehistoric life and livelihood.

While the exact date of creation is unknown, techniques such as chiseling outlines, removing entire forms, and polishing carved lines suggest that it was produced sometime between the Late Neolithic and Bronze Age periods. Archaeological discoveries from the surrounding area — including harpoon fragments and whale bones bearing cut marks — support the theory that these engravings reflect both land and marine hunting cultures. The petroglyph employs lines and dots to express vitality in the animals and hunting scenes, while rendering details with remarkable realism. As a result, it is regarded not only as hunting art but also as religious art, embodying prehistoric beliefs about nature, ritual hunting, fertility, and abundance.

Moreover, this petroglyph is internationally recognized as one of the few known examples depicting whale-hunting scenes. The detailed portrayals of large whales, hunting boats, harpoons, and floating tools provide invaluable insights for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It stands as crucial evidence of prehistoric maritime subsistence culture rather than a mere pictorial representation. In recent years, the site has been inscrib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property. While preservation efforts are ongoing, the petroglyph continues to face challenges, including periodic submersion due to rising water levels from a nearby dam.

Petroglyphs detail photograph
Petroglyphs tactile model

시각 장애인 교육 체험 도구

국립중앙박물관과 함께 진행했던 프로젝트

시각 장애인분들이 손끝으로 반구대 암각화를 느낄 수 있도록 만든 체험형 교구제 제작 사업이었어요. 그동안 암각화는 ‘눈으로만 보는 유물’로 여겨졌지만, 이번 작업을 통해 ‘직접 만지고 느끼는 문화재’로 바뀌었죠. 보는 것에서 느끼는 것으로, 감각의 방향을 완전히 새롭게 전환한 시도였습니다.

처음에는 반구대 암각화를 정밀하게 3D 스캔하는 작업부터 시작했어요. 바위의 굴곡이나 조각선의 깊이, 동물 형상의 입체감까지 세밀하게 측정했죠. 그렇게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무독성 실리콘 금형을 제작했습니다. 이 실리콘은 의료용 인증을 받은 안전한 재질이라, 손으로 자주 만지는 교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했어요. 원본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촉각 정보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었죠.

이후 완성된 금형을 사용해 실리콘 몰드 형태의 교구를 만들었어요. 실제 암각화의 질감과 형태를 최대한 가깝게 재현했고, 손끝으로 선의 흐름이나 조각의 깊이를 따라가다 보면 선사시대의 장면이 살아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몰드는 거칠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전혀 없도록 부드럽게 마감되었고, 색상별로 구분하여 약시자나 저시력 학습자도 형태와 색의 대비로 쉽게 구분할 수 있게 제작했습니다.

완성된 교구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과 전국의 특수학교 시각장애 학급에 전달되었어요. 또 전시 연계 체험존에서도 활용되어 관람객들이 손으로 직접 암각화를 느껴볼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었죠.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모형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시각 장애인의 문화 향유권을 확장하고 문화유산의 접근성과 포용성을 높인 의미 있는 사례로 남았습니다. 반구대 암각화는 이제 눈으로만 보는 유물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느낄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The project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project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a hands-on educational initiative designed to help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experience the Bangudae Petroglyphs through touch. Until now, the petroglyphs had been regarded as relics meant only to be “seen,” but through this project, they were transformed into cultural artifacts that could be “felt.” It was an attempt to shift perception from seeing to sensing — a new way of engaging with heritage.

The work began with a precise 3D scanning of the Bangudae rock surface. Every minute groove, carved line, and contour of the animal figures was captured in detail. Based on this data, molds were produced using non-toxic silicone — a medically certified material ideal for tactile educational tools. The process ensured that the original artifact remained unharmed while accurately conveying its tactile information through the replicas.

Using these molds, silicone tactile models of the petroglyphs were created. They faithfully reproduced the original textures and forms so that, by tracing the lines and carved depths with their fingers, users could almost feel the scenes come to life. Each mold was carefully finished to eliminate any sharp edges and produced in multiple color variations. This color differentiation made it easier for people with partial sight to distinguish between figures and scenes based on both shape and contrast.

The completed teaching aids were distribu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to special 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across the country. They were also featured in exhibition-based experience zones, where visitors could touch and explore the petroglyphs firsthand. More than a simple model-making project, this initiative expanded the cultural accessibility of herit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inclusivity in museum education. Ultimately, the Bangudae Petroglyphs have been reborn — not just as artifacts to look at, but as a cultural heritage that everyone can truly feel.

Silicone mold production
Tactile kit in classroom

암각화 동물의 형상화

상어 모양의 암각화를 현대적으로 형상화하여 제작했습니다. 전체 형태는 반구대 암각화 속 상어 조각의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습니다.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져 표면이 부드럽고, 만질 때 다칠 위험이 없습니다. 또한 무독성,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누구나 안전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시각 장애인도 손끝으로 형태를 느끼며 상어의 생동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is piece was designed a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hark-shaped petroglyph. Its overall form faithfully reflects the distinctive carving of the shark found in the Bangudae Petroglyphs. Made of soft silicone, it is completely safe to touch without any risk of injury. The material is eco-friendly and non-toxic, ensuring a safe tactile experience for everyone. It allows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to explore the shape through touch and feel the vitality of the shark motif.

Silicone mold production
Tactile kit in classroom

실리콘 몰드 작업

금속 조각이 새겨진 실리콘 몰드에 무공해 실리콘을 주입하여 고온에서 구워내는 공정을 통해 반구대 암각화의 형태를 재현했습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복제가 아니라, 원형의 깊이와 질감을 그대로 옮겨내는 정밀한 조형 작업입니다. 고온에서 경화된 실리콘은 내구성이 높고, 반복적인 촉각 체험에도 형태가 변하지 않습니다. 사용된 실리콘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로, 시각 장애인도 안전하게 만질 수 있습니다. 완성된 조형물은 금속의 섬세한 조각선과 돌의 질감을 함께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표면은 매끄럽게 마감되어 손끝으로 선과 굴곡을 자연스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몰드는 반구대 암각화의 조형적 특징을 손의 감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용 도구입니다. 시각 정보를 대신해 촉각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학습자들은 손끝을 통해 선사시대 예술의 생동감과 상징성을 직접 느낄 수 있습니다. 결국 이 과정은 시각 장애인에게도 예술과 문화유산의 감동을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입니다.

Molten, eco-friendly silicone is poured into a metal-engraved mold and baked at high temperature to reproduce the form of the Bangudae Petroglyphs. This process is not a simple copy but a precise sculptural technique that preserves the original depth and texture. Once cured under heat, the silicone becomes highly durable and maintains its shape through repeated tactile interaction. The material used is non-toxic and safe for direct contact, allowing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to explore it freely. The finished piece captures both the delicacy of the metal engraving and the roughness of the stone surface. Its surface is smoothly polished so that users can trace lines and contours naturally with their fingers. The molds are designed as educational tools that allow people to perceive the structural beauty of the petroglyphs through touch. Instead of relying on sight, they provide a sensory way to experience and understand cultural heritage. Learners can feel the vitality and symbolism of prehistoric art directly through their fingertips. Ultimately, this process represents a new attempt to deliver the emotion of art and heritage to everyone, including those with visual impairments.

Automotive color sample




© 이미지웍스의 모든 이미지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외부 사용 시 사전 허가가 필요하며,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ImageWorks'를 출처로 표기해 주세요.

© All images by Image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External use requires prior permission; when sharing, please credit “ImageWorks” as the source.

Product design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