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HYUNDAI 자동차 컬러 시편(Color Chip)
컬러의 사실적인 구현 그 이상
이미지웍스는 현대자동차와 협력하여 자동차 컬러 시편 제작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실제 양산 차량에 적용되는 컬러를 기반으로, 정확한 색상 구현과 품질 검증을 목표로 수행되었습니다. 이미지웍스는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과 기술 기준에 부합하는 최고 수준의 컬러 매칭 및 시각적 완성도를 위해 정밀한 공정을 적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차량에 사용되는 리얼 컬러(Real Color) 시편을 완성하였으며,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더욱 고급스럽게 표현하는 결과물을 제공하였습니다.
THE IMAGEWORKS collaborated with Hyundai Motor Company on the production of automotive color samples.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ctual colors used in mass-produced vehicles, with a focus on achieving precise color reproduction and quality verification. THE IMAGEWORKS applied advanced processes to ensure the highest level of color accuracy and visual refinement, fully aligning with Hyundai's design philosophy and technical standards. As a result, authentic Real Color samples identical to those used on actual vehicles were produced, successfully enhancing the visual sophistication of Hyundai's brand identity.
.png)
.png)
현대자동차에서 출시되는 모든 차종의 외장 컬러 시편은 디자인 개발과 품질 검증을 위한 핵심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 시편은 실제 차량에 적용되는 도료와 동일한 재질 및 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색상, 질감, 광택, 표면 감도 등 모든 요소가 자동차의 실제 외장 컬러와 완벽하게 일치하도록 구현됩니다. 특히 각 컬러는 현대자동차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분류·코딩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차종의 컬러 매칭 테스트와 신규 색상 개발에 활용됩니다. 모든 컬러 시편은 정밀한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내·외장제의 색상 오차를 최소화합니다. 이는 차량의 전체적인 디자인 일관성과 브랜드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환경 변화(조명, 온도, 재질)에 따른 색상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 과정을 거쳐 실제 도장 품질과 동일한 결과를 구현합니다. 따라서 이 컬러 시편은 단순한 샘플이 아니라, 현대자��차의 기술력과 디자인 철학이 집약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The exterior color samples for all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models serve as essential reference materials for design development and quality verification. These samples are produced using the same materials and coating processes as the actual vehicles, ensuring that color, texture, gloss, and surface sensitivity perfectly match the real exterior finish. Each color is classified and coded according to Hyundai's rigorous standards, and this system is utilized for color-matching tests and the development of new shades across various models. Every color sample is created based on precise engineering data to minimize color devia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components. This process plays a vital role in maintaining overall design consistency and reinforcing the brand's identity. To prevent distortion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ing, temperature, and material differences, each sample undergoes multiple testing procedures to reproduce the same quality as actual automotive coatings. Therefore, these color samples are not merely swatches but embody the culmination of Hyundai's advanced technology and design philosophy.
리얼 컬러 (Real Color)
.png)
양산에 들어가기 전 단계에서, 실제 차량에 적용될 컬러를 기반으로 한 시제품(Prototype) 이 제작됩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색상 테스트를 넘어, 실제 도장 공정과 동일한 조건에서 컬러를 구현하여 빛의 반사, 질감, 재질감 등을 정밀하게 검증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특히, 개발 중인 차량의 디자인 콘셉트와 어울리는지, 주변 환경(자연광, 실내조명 등)에 따라 색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실제 도장 시편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됩니다. 이 시제품은 설계 단계에서 가상의 색상 데이터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물리적 질감과 시각적 일체감을 테스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제작됩니다. 또한, 연구소와 디자인센터, 그리고 생산 공정팀이 협업하여 색상 일관성, 내구성, 그리고 품질 안정성을 동시에 검증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선택된 컬러는 양산 단계로 이전되어 최종적으로 차량 외장에 적용되는 ‘리얼 컬러(Real Color)’로 완성됩니다. 따라서, 이 시제품 제작 단계는 단순한 테스트를 넘어 브랜드의 감성과 기술력이 결합된 컬러 품질 검증의 핵심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Before mass production begins, prototype models are created using the actual colors that will be applied to real vehicles. This process goes beyond simple color testing — it replicates the exact automotive painting conditions to accurately evaluate reflection, texture, and material gloss. Designers and engineers use these real paint samples to verify how the color interacts with the vehicle's design concept and how it changes under various lighting conditions, such as natural daylight or indoor illumination. Unlike digital renderings, these physical prototypes allow teams to examine the true surface texture and visual harmony of the color in real-world conditions. Collaboration between the research center, design studio, and production engineering teams ensures consistency in hue, durability, and overall quality stability. Through this rigorous validation process, the selected color transitions into the final production stage and is applied as the Real Color on the actual vehicle exterior. Therefore, this prototype development phase is not merely a technical test, but a critical process that combines emotional design value with Hyundai's advanced color technology to achieve visual perfection and brand authenticity.
.jpg)
리얼 내장제 (Real Interior Material)
실제 차량의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동일한 소재와 공법을 적용하여 리얼 인테리어(Real Interior) 시제품이 제작됩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디자인 목업이 아닌, 양산 단계에서 사용될 자재의 질감·색상·광택·패턴을 정확히 구현하기 위한 고정밀 제작 단계입니다. 시제품은 차량 내부의 조명 환경, 좌석 배열, 트림 구조 등에 따라 소재가 어떻게 반사되고, 어떤 색 변화를 보이는지 세밀하게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설계 단계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실제 질감, 색상 밸런스, 조립 간격, 시각적 조화를 종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는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운전자의 감성적 만족도와 브랜드의 품질 인식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각 소재는 시각적·촉각적 완성도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트 가죽의 질감과 대시보드 표면의 패턴, 금속 트림의 광택, 패브릭의 짜임까지 모두 실제 차량에 들어가는 부품과 동일한 기준으로 제작 및 평가됩니다. 또한 이 시제품은 연구소와 생산기술팀, 품질관리팀이 함께 협력하여 내마모성, 온도 변화에 따른 색상 안정성, 조명 반사율 등을 정밀 측정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완성된 리얼 인테리어 시제품은 디자인의 완성도뿐 아니라 생산 적합성과 품질 안정성까지 보장하게 됩니다. 결국 이 단계는 자동차 내부 디자인의 최종 완성도를 결정짓는 브랜드 감성과 기술력이 결합된 검증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얼 인테리어는 단순한 모형이 아니라, 실제 차량과 동일한 감성과 품질을 사전에 구현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The Real Interior prototype is created using the exact sam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used in actual vehicle interiors. This stage is not just a simple design mock-up but a highly precise process to reproduce the texture, color, gloss, and pattern of production materials. The prototype is analyzed under various lighting conditions, seat layouts, and trim structures to study how materials reflect light and shift in color. Through this process, designers can verify the real tactile feel, color harmony, assembly gaps, and visual balance that cannot be evaluated through digital simulations alone. Since the interior directly influences the driver's emotional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quality, each material must achieve both visual and tactile perfection. Every element—from seat leather texture and dashboard grain to metallic trim gloss and fabric weave—is developed and tested using the same standards as production components. Research, production engineering, and quality assurance teams collaborate to precisely measure durability, color stability under temperature variation, and light reflection levels. As a result, the completed Real Interior prototype ensures not only design excellence but also manufacturability and long-term quality stability. Ultimately, this stage serves as a validation process that integrates brand emotion and advanced technology to achieve the final perfection of automotive interior design. Thus, the Real Interior is not a simple model but a crucial step that faithfully reproduces the emotional and material experience of an actual vehicle.
.png)
.png)
최고급 나파가죽
최고급 나파가죽을 사용하여 실제 자동차 인테리어에서 느껴지는 리얼 컬러와 질감을 그대로 재현합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색상 매칭을 넘어, 가죽의 깊이감·광택·표면 질감까지 정밀하게 구현하는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합니다. 나파가죽의 자연스러운 결(texture)과 은은한 색 변화는 차량 내부의 빛 반사와 어우러져, 실제 운전자가 느끼는 감성적 몰입을 극대화합니다. 색상 구현은 자동차 제조사의 표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디자인센터와 협력하여 차량의 전체적인 톤앤매너와 완벽하게 일치되도록 조정됩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비슷한 컬러’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차량에 탑승했을 때의 경험적 감각까지 시각적으로 전달합니다. 각 소재는 내구성·질감·색상 유지력 등을 검증하여 최고 수준의 품질과 프리미엄 감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결과물을 완성합니다.
Reproduces the real color and texture experienced in actual automotive interiors using the finest Nappa leather. This process goes far beyond simple color matching — it requires advanced craftsmanship to precisely capture the depth, gloss, and surface character of genuine leather. The natural grain and subtle tonal variations of Nappa leather blend beautifully with the vehicle's interior lighting, maximizing the emotional engagement and sensory immersion felt by the driver. Each color is developed based on the manufacturer's official specifications, and refin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design centers to ensure perfect harmony with the overall tone and manner of the vehicle. Thus, it does not merely recreate a similar hue, but conveys the authentic sensory experience of being inside a real car. Every material undergoes rigorous testing for durability, texture stability, and color retention, resulting in a final product that achieves the highest level of quality and emotional sophistication.
.png)
리얼우드
두꺼운 나무의 질감과 촉감을 얕은 가공으로 살려 실제 적용한 것 같은 느낌을 재현했습니다. 원목의 결 방향과 무늬를 먼저 면밀하게 관찰해, 가공 방향과 깊이를 결정합니다. 깊게 파지 않고 얕은 레벨로만 표면을 제거해 자연스러운 음영과 하이라이트를 남깁니다. 소형 라우터나 CNC로 미세한 홈과 결 따라가는 미세 패턴을 넣어 지문 같은 유기적 흐름을 만듭니다. 연마는 거친→중간→고운 순으로 단계별로 진행해 표면의 거칠기를 섬세하게 조절합니다. 표면에 남은 미세한 톱밥 결을 살려 자연스러운 반사와 깊이를 확보합니다. 프라이머를 얇게 도포해 목재 결을 보호하면서도 이후 코팅층과의 결합력을 높입니다. 기본 색조를 얇고 균일하게 올려 목재 고유의 톤을 보존합니다. 유광 코팅(또는 하이글로스 래커)을 다층으로 쌓아 광택과 깊이감을 만들어냅니다. 각 코팅층 사이에 미세한 연마(폴리싱)를 통해 유광 표면의 투명도와 반사도를 높입니다. UV 경화 코팅을 적용하면 외부 스크래치와 변색에 강한 광택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가공 후 조명 각도에 따른 광택의 흐름을 확인하여 하이라이트와 쉐도우를 최종 보정합니다. 모서리와 단면은 라운딩 또는 버핑 처리를 해 촉감과 시각적 완성도를 맞춥니다. 최종 샘플을 복사·사진·직접 촬영 등 다양한 방법으로 테스트해 원본과의 일치도를 검증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제 가공된 두꺼운 나무의 얕은 가공감과 고급스러운 유광 마감을 충실히 재현합니다.
The goal of this process is to reproduce the authentic look and feel of thick, natural wood through shallow surface processing. We begin by carefully observing the direction and texture of the wood grain to determine the cutting depth and processing flow. Instead of carving deeply, we lightly trim the surface to preserve natural highlights and subtle shadows. Fine lines and grain-following micro-patterns are created using a precision router or CNC machine, forming an organic, fingerprint-like texture. Sanding proceeds step-by-step—coarse, medium, and fine—to refine the surface's tactile smoothness. Residual sawdust texture is intentionally retained to achieve a realistic sense of depth and light reflection. A thin primer layer is then applied to protect the grain and enhance adhesion for subsequent coatings. Base color is sprayed evenly and lightly to maintain the natural tone of the wood beneath. Multiple layers of gloss coating or high-gloss lacquer are applied to build luster and dimensional depth. Between each layer, micro-polishing enhances the transparency and reflective clarity of the surface. UV-curing coats are added for long-term resistance to scratches, fading, and surface wear. After curing, lighting angles are tested to fine-tune highlights and shadow flow. Edges and cross-sections are rounded or buffed for a seamless and tactilely pleasant finish. Final samples are compared through photography and direct observation to confirm visual fidelity to real wood. Through this process, the shallow carving and luxurious gloss of solid wood are authentically recreated in both texture and appearance.
.png)
HYUNDAI 자동차 시편(Color Chip)
당시 현대자동차에서 출시되는 모든 차종의 내·외장재 컬러 시편을 담당하여 제작하였습니다. 각 차종별로 사용되는 재질의 물성과 색상 체계를 정밀하게 분석하였습니다. 도장, 가죽, 패브릭,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별로 색상 일치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광택, 질감, 반사율을 실제 차량 환경과 동일하게 구현하기 위해 반복적인 샘플링을 수행했습니다. 색상별 명도·채도 조정을 통해 모델 간 일관된 톤 밸런스를 확보했습니다. 표준 조명 환경에서의 시각적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색 보정 절차도 포함했습니다. 각 파트별 최종 시편은 디자인팀과 엔지니어링팀의 검증을 거쳐 승인되었습니다. 모든 시편은 생산 라인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정밀 제작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현대자동차의 전체 라인업이 통일된 컬러 품질을 유지하도록 기여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대규모 양산 전 단계에서 품질 기준을 확립한 중요한 사례였습니다.
At that time, I worked on producing color samples for all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used across Hyundai Motor’s vehicle lineup. Each model’s material properties and color systems were analyzed in detail. Testing was conducted across various materials—paint, leather, fabric, and plastic—to ensure precise color matching. Repeated sampling was performed to replicate gloss, texture, and reflectivity identical to real vehicle conditions. Brightness and saturation adjustments were made to maintain tonal consistency between models. A color correction process under standardized lighting minimized perceptual differences. Final samples for each part were reviewed and approved by both the design and engineering teams. Every sample was crafted with production-ready precision for direct use in manufacturing. As a result, Hyundai’s full lineup maintained a consistent, unified color quality. This project served as a key benchmark in establishing pre-production quality standards.
.png)
.png)
© 이미지웍스의 모든 이미지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외부 사용 시 사전 허가가 필요하며,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ImageWorks'를 출처로 표기해 주세요.
© All images by Image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External use requires prior permission; when sharing, please credit “ImageWorks” as the source.

.png)
.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