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IMAGEWORKS

THE IMAGEWORKS는 2004년 설립 이래, 다양한 공공기관과 기업에 창의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해 온 전문 종합 디자인 그룹입니다. 기획–디자인–제작–홍보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박물관, 도서관, 기업체, 교육기관, 병원, 그리고 개인 고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들과 신뢰를 기반으로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Petroglyphs project overview

석촌동고분군 石村洞古墳群

직접 쌓고 만들어 완성하는 체험형 어린이 교육자료


이 고분군은 1911년 9월 18일에 처음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어요. 당시에는 이미 백제시대 무덤일 가능성이 제기됐고, 보존 등급으로는 두 번째인 ‘을(乙)' 등급이 붙었죠.

1916년 가을 조사에서는 무덤들을 ‘돌무지무덤’과 ‘토총’으로 나눴고, 같은 해 발행된 『조선고적도보』 제3권의 ‘석촌부근백제고분군분포도’에는 흙무덤인 ‘갑총’ 23기, 돌무지무덤인 ‘을총’ 66기가 표시돼 있어서 이 일대에 최소 89기의 무덤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어요.

1970년대 들어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면서, 1974년 가을에 3호분과 4호분이 발굴되었고 1976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잠실지구 고분들이 조사됐어요. 이어 1983년부터는 도로 공사 및 유적 정비와 연계해 3호분과 그 주변이 조사되었고, 1987년에는 민가 철거와 함께 전면적인 고분군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현재의 백제고분공원이 조성됐어요.

이곳 묘제(무덤 양식)가 특히 흥미롭습니다. 예컨대 1호분은 남분과 북분이 붙은 쌍분(雙墳)이었는데, 남분은 전형적인 고구려식 돌무지무덤이고 북분은 현지화된 백제식 돌무지무덤이었어요. 2호분은 한 변 약 17m 규모의 3단 백제식 돌무지무덤으로 나무널이 확인되었고, 단경호와 철도자 등이 출토됐어요. 3호분은 더 커서 약 50.8 - 48.4m로, 4세기 후반 백제 근초고왕 무덤일 가능성도 제기돼요. 4호분은 또 다른 백제식 돌무지무덤으로 한 변 약 17.2m, 높이 약 2.1m이며, 기존 분구묘(흙무덤)를 다듬어 돌무지무덤으로 개조한 형태로 밝혀졌어요.

이 고분군의 의미는 단지 무덤의 수에 있지 않아요. 백제 초기 왕·귀족의 장례와 함께, 고구려식 돌무지무덤이 백제 내부에서 어떻게 현지화·변용됐는지를 보여줍니다. 도시 개발과 도로 공사로 상당 부분 훼손되었지만, 남아 있는 무덤들은 백제 한성기 묘제와 장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중요한 증거예요.

The Seokchon-dong Ancient Tombs were first surveyed on September 18, 1911, when scholars already suspected a Baekje-period date. At that time, the site was classified in the second preservation grade, known as the “Eul (乙)” class.

In the autumn of 1916, a new survey divided the tombs into stone-mound and earthen mounds. In the same year, The Illustrated Book of Korean Antiquities, Volume 3, published a Distribution Map ofBaekje Tombs near Seokchon, recording 23 earthen mounds (“Gap”) and 66 stone-mound mounds (“Eul”),indicating that at least 89 tombs existed in the area before 1916.

With rapid urban development in the 1970s, systematic excavations began: Tombs No. 3 and 4 were excavated in the autumn of 1974, followed by additional campaigns through 1976. From 1983, road construction and site maintenance prompted further investigations around Tomb No. 3, and in 1987, after nearby houses were cleared, a full-scale excavation created today's Baekje Tombs Park.

The burial types themselves are revealing. Tomb No. 1 is a twin mound (ssangbun) with a southern Goguryeo-style stone-mound and a northern Baekje-adapted stone-mound. Tomb No. 2 measures about 17 meters per side with a three-tier structure and a wooden coffin; pottery and iron tools were recovered. Tomb No. 3 is larger at approximately 50.8 - 48.4 meters, and some scholars link it to King Geunchogo in the late 4th century. Tomb No. 4, another Baekje-style stone-mound, measures about 17.2 meters per side and 2.1 meters high, and appears to have been remodeled from an earlier earthen mound.

The site matters not simply for the number of tombs but because it shows how Goguryeo burial traditions were localized into a distinct Baekje style during the early Hanseong period. Although development and roadworks damaged much of the area, the surviving mounds remain vital evidence for understanding the royal and aristocratic funerary culture of early Baekje.

Petroglyphs detail photograph
Petroglyphs tactile model

3D modeling

한성백제박물관과 함께 진행했던 프로젝트

정확한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3D 모델링 작업이 선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형태, 비율, 세부 구조를 정밀하게 구현하죠. 이후 다양한 **시안(디자인안)**을 제작하여 여러 각도에서 검토합니다. 모델의 질감, 재질, 색감 등을 테스트하기 위해 샘플 모델 제작도 병행돼요. 이렇게 만들어진 결과물을 바탕으로 내부 검토가 이루어지고, 필요한 수정 사항이 도출됩니다. 클라이언트에게 중간 결과를 공유하며, 세부 피드백을 받아 조정하는 과정이 이어집니다. 피드백 반영 후, 실제 적용 가능한 형태로 모델이 완성됩니다. 완성된 모델은 최종 시뮬레이션 및 물리적 테스트를 통해 검증되며, 이 모든 과정을 통해 가장 정확하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이 탄생하게 됩니다.

The project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the Hanseong Baekje Museum.

To fully understand and refine the model, the process begins with 3D modeling. At this stage, precise forms, proportions, and structural details are carefully built. Then, several design drafts and visual variations are created and review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Sample models are produced to test materials, textures, and colors. Based on these prototypes, internal evaluations are conducted, leading to necessary adjustments. The interim results are shared with the client, and detailed feedback is incorporated. After revisions, the finalized model is developed into a form suitable for production. Finally, simulations and physical testing are carried out to ensure accuracy and completeness. Through this process, a highly precise and refined final model is achieved.

Silicone mold production

도색작업

모델링 작업이 완료된 후, 완성된 형태를 3D 프린터로 출력했습니다. 출력된 모델은 표면 정리 과정을 거쳐 도색 준비를 마쳤어요. 바깥쪽 면은 암석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스톤(stone) 텍스처 페인트로 마감했습니다. 이 질감은 실제 바위의 표면처럼 거칠고 입체감 있게 구현되었죠. 반면 안쪽 면은 흙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브라운 계열의 흙 텍스처 페인트를 사용했습니다. 이로써 외부는 단단한 암석, 내부는 흙으로 채워진 무덤 구조의 느낌을 재현했습니다. 모델의 안정성을 위해 중심부에는 금속성 지지 기둥을 추가했어요. 이 지지대는 모델이 기울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체 마감 후에는 질감, 색감, 균형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최종 결과물은 실제 유적의 분위기와 질감을 손끝으로 느낄 수 있는 고품질 모형으로 완성되었습니다.

After the modeling process was completed, the finalized shape was printed using a 3D printer. The printed model was carefully cleaned and prepared for painting. The exterior surface was coated with stone-texture paint to replicate the look of natural rock. This finish created a realistic, rough, and tactile stone appearance. The inner surface, in contrast, was painted in earth tones to evoke the texture of soil. Together, the two surfaces recreated the authentic structure of a tomb — stone on the outside, soil within. To ensure stability, a support pillar wa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odel. This internal frame prevented any tilting or collapse and reinforced the structure. After all coatings were completed, the team inspected the surface texture, color balance, and overall integrity. The final model achieved a realistic and high-quality tactile representation, capturing the atmosphere of the original relic.

Automotive color sample

모델조립 과정

모든 블록이 완성되면, 이제 하나씩 조립하는 단계로 들어갑니다. 각 블록은 미리 설계된 구조도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맞춰 결합됩니다. 조립 과정에서는 미세한 오차도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정밀한 정렬 작업이 병행됩니다. 3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하층부는 기단부 역할을 하며 전체 구조를 안정적으로 지탱합니다. 중층은 장식과 구조적 균형을 동시에 담당하는 부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그리고 가장 안쪽 공간에는 왕의 시신이 안치될 중심 석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공간은 외부와 단단히 차단되어, 영원한 안식을 상징하도록 만들어졌죠. 각 블록의 결합이 끝나면 표면 정리와 마감 작업이 이어집니다. 이 과정을 통해 비로소 완전한 형태의 고분 모형이 완성됩니다.

Once all the individual blocks are completed, the process moves on to the assembly stage. Each block is carefully positioned and joined according to the predesigned structural layout. Since even the smallest misalignment can cause instability, precision alignment is crucial. The entire structure consists of three tiers, each carrying its own symbolic meaning. The lower tier functions as the foundation, providing overall stability to the monument. The middle tier balances both structural integrity and decorative expression. At the innermost section lies the central burial chamber, where the king's body would be placed. This inner space was designed to be completely sealed, representing eternal rest. After the assembly, final surface refinements and finishing touches are applied. Through this meticulous process, the model is completed as a faithful reconstruction of the ancient tomb.

Automotive color sample
Automotive color sample
Automotive color sample
Automotive color sample
Automotive color sample
Automotive color sample
Automotive color sample




© 이미지웍스의 모든 이미지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외부 사용 시 사전 허가가 필요하며,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ImageWorks'를 출처로 표기해 주세요.

© All images by Image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External use requires prior permission; when sharing, please credit “ImageWorks” as the source.

Product design background
Product design background